분류 전체보기316 [11주차] 코틀린 타입 시스템(1) 6.1. 널 가능성 6.1.1. 널이 될 수 있는 타입 - 코틀린과 자바의 가장 중요한 차이는 코틀린 타입 시스템이 널이 될 수 있는 타입을 지원한다는 점이다. 자바에서는, 어떤 변수가 널이 될 수 있다면 그 변수에 대해 메소드를 호출할 시 NullPointerException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지 않다. 코틀린은 그런 메소드 호출을 금지함으로써 많은 오류를 방지한다. (NPE의 경우 런타임 시 발생하지만, 코틀린에서는 컴파일 시 오류를 발생시킨다.) - strLen 함수의 경우 파라미터 s의 타입인 String이 널로 넘어오지 못하게 컴파일 오류를 발생시킨다. 이 함수가 널과 문자열을 인자로 받을 수 있게 하려면 타입 이름 뒤에 물음표(?)를 명시해야 한다. fun strLenSafe(s:St.. 2022. 1. 21. [9주차] 고루틴과 동시성 프로그래밍, 채널과 컨텍스트 Chapter 24. goroutine 24.1 스레드란? 고루틴: 경량 스레드 함수나 명령을 동시에 실행할 때 사용 💡 컨텍스트 스위칭 비용 X 원래 CPU는 한 번에 하나의 스레드만 처리할 수 있어서, 효율성을 위해 여러 스레드를 전환하면 ‘컨텍스트 스위칭’ 비용이 발생한다. 적정 개수를 넘어 한 번에 너무 많은 스레드를 수행하게 되면 성능이 저하되어 주의해야 한다. 하지만 Go 언어에서는 CPU 코어마다 OS 스레드를 하나만 할당해서 사용하므로, 컨텍스트 스위칭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고루틴이다. 24.2 고루틴 (goroutine) 모든 프로그램은 고루틴을 최소 하나 가짐 (→ 메인 루틴) go 함수_호출 //메인 루틴 외에 고루틴 추가 생성 package main i.. 2022. 1. 20. [7주차] Function 오브젝트, Argument 7주차에는 의 Function 오브젝트와 Argument의 개념을 공부했습니다. 😎 주차진도강의시간(분)기간 7주차 0. 중고급 강좌 소개 범위 1. Function 오브젝트, 2. Argument 115 21년 12월 24일~21년 12월 30일 Function 형태 빌트인 Function 오브젝트 Function.prototype.call() function 오브젝트 인스턴스이지만, new 연산자로 생성한 인스턴스와 구분하기 위해 강좌에서는 function 오브젝트로 표기 function 인스턴스 new 연산자를 사용하여 연결된 메소드로 생성 function 오브젝트 생성 엔진이 function 키워드를 만나면 빌트인 Function 오브젝트의 prototype에 연결된 메소드로 function 오브.. 2022. 1. 17. [10주차] 람다로 프로그래밍(4) Ch05 람다로 프로그래밍 📌 학습목표 • 람다 식과 멤버 참조 • 함수형 스타일로 컬렉션 다루기 • 시퀀스: 지연 컬렉션 연산 • 자바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코틀린에서 사용 • 수신 객체 지정 람다 사용 람다 식(lambda expression) 또는 람다는 다른 함수에 넘길 수 있는 작은 코드 조각을 뜻한다. 람다를 사용하면 공통 코드 구조를 라이브러리 함수로 뽑아낼 수 있다. 5.1 람다 식과 멤버 참조 5.1.1 람다 소개: 코드 블록을 함수 인자로 넘기기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는 함수를 값처럼 다룬다. 또한, 클래스를 선언하고 그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함수에 넘기는 것이 아니라 함수 자체를 다른 함수에 전달한다. → 이때, 람다 식을 사용하면 함수를 선언할 필요가 없고 코드 블록을 직접 함수의 인자로.. 2022. 1. 16. [8주차] 2018 Data Science Bowl - 세포 핵 탐지 자동화 알고리즘 이번 주에는 'Teaching Notebook for Total Imaging Newbies' 커널을 필사하면서 '2018 Data Science Bowl'에서 세포 핵 탐지를 자동화하는 알고리즘 코드를 통해 object segmentation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https://www.kaggle.com/stkbailey/teaching-notebook-for-total-imaging-newbies Teaching notebook for total imaging newbies Explore and run machine learning code with Kaggle Notebooks | Using data from 2018 Data Science Bowl www.kaggle.com 본 대회는 핵 탐지를 .. 2022. 1. 16. [GDSC Ewha] 2021 정규 세션 돌아보기 GDSC Ewha 여러분 안녕하세요🎄 2022년 새해는 잘 보내고 계신가요? 오늘은 2021년 말에 진행되었던 여섯 번의 정규 세션들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정규 세션에서는 저희 GDSC 멤버들이 직접 준비한 세미나가 진행되었는데요, Tech, Story, Project-Sharing 등의 카테고리 내 흥미로운 주제들을 준비해 주셔서 신기한 기술들도 체험하고, 공감되는 이야기도 나누어 본 유익한 세션들이었습니다 :) # Regular Session 1 _ 11/3 1. 마크다운 완전정복 - 나만의 Github 리드미 만들기 | 김선영 2. FaceNet으로 연예인 얼굴 인식해보기 | 장효신 3. 코딩 없이 나만의 인공지능 서비스 만들기 - 구글의 Teachable machine | 구미진 4. Redis로.. 2022. 1. 12. 이전 1 ··· 38 39 40 41 42 43 44 ··· 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