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GDG on campus Ewha Tech Blog

4-1기 스터디83

[Kotlin 스터디] 7주차 - 연산자 오버로딩과 기타 관례 이번 Kotlin 스터디는 새해를 맞이하여 가볍게 온라인으로 만남을 가졌습니다. 비록 맛집 투어는 하지 못해 아쉬웠지만, 그래도 다양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던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 지난 6장까지는 코틀린을 코틀린답게 쓰는 방법을 알아보며 코틀린의 특성을 알고, 코드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를 통해 코틀린을 기존 라이브러리나 API와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이번 7장부터는 Kotlin in Action의 2부에 들어서며 지금까지 익힌 코틀린을 활용해 API를 선언하고 추상화를 정의하는 방법을 배우는 등 코틀린 언어의 더 깊은 특성을 다루게 됩니다. 이번 주에는 '연산자 오버로딩과 기타 관례'에 대해 팀원들 함께 아래의 내용을 다뤄보았습니다. 동등성 연산자: 자.. 2023. 1. 9.
[CS 기초 스터디] 9주차 회의록 정규 회의록 일시 : 2022.12.23 15:00 범위 : 네트워크 13~15강 강의 : 이석복 교수님 컴퓨터네트워크 강의 활동 : github에 올린 내용 정리본 읽고 공부한 내용에 대해 발표 및 질의응답 정리 : https://github.com/GDSC-Ewha-4th/Study-CS.git 4. 네트워크 계층 Hierarchial Routing 계층화로 규모 문제 해결 Autonomous Systems: 나누어진 각각의 네트워크는 자치권을 가지고 내부 알고리즘을 결정 OSPF 프로토콜: Link state algorithm으로 구현한 프로토콜 RIP 프로토콜: Distance vector algorithm으로 구현한 프로토콜 Inter-AS: 더 큰 범위의 네트워크 사이의 알고리즘 AS(Auto.. 2023. 1. 6.
[CS 기초 스터디] 8주차 회의록 정규 회의록 일시 : 2022.12.09 15:00 범위 : 네트워크 10~12강 강의 : 이석복 교수님 컴퓨터네트워크 강의 활동 : github에 올린 내용 정리본 읽고 공부한 내용에 대해 발표 및 질의응답 정리 : https://github.com/GDSC-Ewha-4th/Study-CS.git 4. 네트워크 계층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IPv4 - 32bit 주소 체계, 40억개 사용 가능 - 점점 줄어들고 있음 IPv6 - 128bit 주소 체계 현재는 NAT 방식을 사용해서 연명 하나의 서브넷마다 사설 IP로 이용 WAN/LAN 주소를 NAT translation table에 기록하고, 들어올 때 table을 보고 다시 매칭 해당 서브넷은 항상 같은 IP로 .. 2023. 1. 6.
[CS 기초 스터디] 7주차 회의록 정규 회의록 일시 : 2022.12.02 15:00 범위 : 네트워크 7~9강 강의 : 이석복 교수님 컴퓨터네트워크 강의 활동 : github에 올린 내용 정리본 읽고 공부한 내용에 대해 발표 및 질의응답 정리 : https://github.com/GDSC-Ewha-4th/Study-CS.git 2. 애플리케이션 계층 TCP reliable data transfer - pipeline 방식 사용 feedback을 통해 loss를 파악하고 재전송 Flow Control sender가 receiver의 용량을 고려해서 segment를 전달하는 방식 receiver window(RWND): receiver buffer에 남아있는 빈 공간 RWND를 헤더에 담아서 알려줌 - 오버플로우 발생 x receiver .. 2023. 1. 5.
[CS 기초 스터디] 6주차 회의록 정규 회의록 일시 : 2022.11.25 15:00 범위 : 네트워크 4~6강 강의 : 이석복 교수님 컴퓨터네트워크 강의 활동 : github에 올린 내용 정리본 읽고 공부한 내용에 대해 발표 및 질의응답 정리 : https://github.com/GDSC-Ewha-4th/Study-CS.git Transport Layer: Application Layer 아래에 존재 application 계층에게 그 아래 작업은 블랙 박스 우체통 구멍(소켓)에 편지 넣으면 편지 전송, 과정은 몰라도 됨 Transport 계층의 프로토콜인 TCP, UDP 또한 그 아래 계층에 대해서는 블랙 박스 Internet Layer의 IP (internet protocol) 위에서 동작 계층별 데이터 전송 단위 applicatio.. 2023. 1. 5.
[CS 기초 스터디] 5주차 회의록 정규 회의록 일시 : 2022.11.18 9:30 범위 : 네트워크 1~3강 강의 : 이석복 교수님 컴퓨터네트워크 강의 활동 : github에 올린 내용 정리본 읽고 공부한 내용에 대해 발표 및 질의응답 정리 : https://github.com/GDSC-Ewha-4th/Study-CS.git 2. 애플리케이션 계층 Network Application 운영체제 위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들이 다른 머신에 있는 프로세스와 메시지를 주고 받는 것 Client-server architecture 클라이언트: 필요할 때만 요청을 보냄 서버: 24시간 작동되며 요청을 받음, 고정된 주소 가짐 Socket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API 중 하나 프로세스들 사이의 communication에서 socket을 통해서 addr.. 2023. 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