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틀린 스터디의 마지막 주는 코틀린의 실용성을 살펴볼 수 있는 DSL(영역 특화 언어)와, 감성타코에서의 뒷풀이로 진행되었습니다!
팀원들과 낯가리며 함께 날짜를 정했던 것이 얼마 전 같은데 벌써 뒷풀이를 하다니 너무 아쉬웠지만 즐거운 마음이었습니다.
실용적인 주제인 만큼 서로 모르거나 이해가 안되는 부분은 많지 않았지만, 자신이 관심있는 분야에 대한 DSL을 알아봐오는 것을 스터디 마무리 과제로 하기로 했습니다.
과제에 대한 내용은 GDSC ewha 깃허브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희는 스터디를 마치고 홍대 감성타코로 향해 즐거운 뒷풀이를 진행하였습니다! (맛집 스터디답게!)
비록 마지막이라서 아쉬운 마음이었지만.. 코틀린 스터디(를 가장한 맛집 탐방 스터디?)를 좋게 마무리 할 수 있어 기쁜 마음입니다.
이번 주차에 대한 팀원들의 정리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수님
https://jjsooblog.tistory.com/m/26
[Kotlin in Action] part11_DSL 만들기
DSL(영역 특화 언어 Domain Specific Language)을 사용해서 표현력 좋고 코틀린다운 API를 설계하는 방법 코틀린 DSL 설계는 코틀린 언어의 여러 특성을 활용한다. 1. 수신 객체 지정 람다 - 코드 블록에서
jjsooblog.tistory.com
현아님
https://velog.io/@akimcse/Kotlin-in-Action-11.-DSL-만들기
[Kotlin in Action] 11. DSL 만들기
11장에서는 영역 특화 언어 DSL을 사용해 표현력이좋고 코틀린다운 API를 설계하는 방법을 알아본다.코틀린 DSL 설계는 코틀린 언어의 여러 특성을 활용한다.첫 번재 특성은 5장에서 간략하게 살펴
velog.io
혜승님
Kotlin in Action Chap.11
이번 챕터에서는 영역 특화 언어(Domain-Specific Language)를 통해 관용적인 API를 디자인하는 법을 배울 것이다. 전통적인 API와 DSL 스타일 API의 차이점을 공부하고, DSL 스타일 API가 다양한 실용적인 문
haeseung-jeon-portfolio.notion.site
소현님
https://olaffromdoh.tistory.com/entry/Kotlin-in-Action-ch-11-DSL-만들기
Kotlin in Action : ch 11. DSL 만들기
11. DSL 만들기 DSL은 영역 특화 언어(Domain-Specific Language)를 의미한다. 즉, 특정 도메인에 특화된 언어이다. "문제 영역의 해결에는 그 영역의 언어를 전제로 둬야하며, 거기에서 프로그래밍 솔루션
olaffromdoh.tistory.com
written by. 소현
'4-1기 스터디 > Kotl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tlin 스터디] 10주차 - 애노테이션과 리플렉션 (0) | 2023.01.20 |
---|---|
[Kotlin 스터디] 9주차 - 제네릭스 (0) | 2023.01.14 |
[Kotlin 스터디] 8주차 - 고차함수: 파라미터와 반환 값으로 람다 사용 (0) | 2023.01.11 |
[Kotlin 스터디] 7주차 - 연산자 오버로딩과 기타 관례 (0) | 2023.01.09 |
[Kotlin 스터디] 6주차-코틀린 타입 시스템 (0) | 2022.11.27 |
댓글